【오산인터넷뉴스】하주성 기자 = 대개 절을 다니면서 보면 제일 먼저 일주문을 두고, 이어서 금강문 또는 사천왕문, 마지막이 불이문 등으로 나열을 한다. 불이문을 들어서면 금당(대웅전, 극락전, 미륵전 등)을 짓고, 금당 앞에 탑, 금당 뒤에 요사채, 강당 등이 있다. 이렇게 절의 배치를 하는 것을 가람배치라고 하는데, 가람이란 범어의 승가람마(Sangharama)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약하여 가람이라 한다.
| |
▲ 보령 성주사지 전경 |
승가란 중을, 람마란 원의 뜻하는 것으로, 가람은 본래 많은 승려들이 한 장소에서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하기에 이를 합해 ‘중원’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사찰의 대표적인 구성요소로는 문과 루, 종각, 법당, 회랑, 탑 등 다양한 축조물들이 있다.
가람의 배치는 어떻게 하나?
가람의 배치란 절의 건물 배치를 말한다. 이는 탑, 금당, 강당 등 사찰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건물의 배치를 뜻하는 말로, 그 배치는 시대와 종파에 따라 다르다. 통일신라 때는 수많은 절이 있었다. 이 절들의 배치는 주로 일탑일금당식이나, 혹은 쌍탑일금당식의 가람 배치법을 하였다.
| |
▲ 보물 오층석탑 |
▲ 국보 낭혜화상탑비
쌍탑일금당식은 일탑일금당식과 마찬가지로, 금당 앞에 동서로 불탑을 2기 세우는 배치법이다. 통일신라 8세기까지의 가람은 쌍탑일금당식으로 절이 산에 건립되었다. 통일신라 후기에는 절이 산 속으로 자리를 옮겨가면서 산지가람이 발달하여, 가람 배치가 자연의 지세에 따라 건물이 건립되었다. 그런 연유로 금당 앞에 쌍탑이 두거나, 일탑일금당식, 혹은 경우에 따라 탑이 없는 무탑 절도 생겨났다.
많은 탑을 조성한 성주사지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에 소재한 사적 제307호인 성주사지.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성주사는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 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당시의 절들은 산골에 자리 잡았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 |
▲ 금당터 뒤로 삼층석탑 3기가 나란히 서 있다 |
▲ 금당터와 오층석탑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충남 유형문화재 제33호인 석등, 보물 제19호인 5층석탑, 금당건물과 그 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26호인 동삼층석탑, 보물 제20호인 중앙 3층석탑, 보물 제47호인 서삼층석탑가 있고 그 뒤에 강당이 자리하고 있다. 최치원의 사산비문 중 하나인 국보 제8호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도 절의 북서쪽에 있다.
성주사지는 발굴조사결과 건물의 초석, 통일신라시대의 흙으로 빚은 불상의 머리, 백제, 통일신라, 고려시대의 기와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성주사는 당대 최대의 사찰이었으며, 최치원이 쓴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는 신라 석비 중 가장 큰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 |
▲ 사지 안에는 다양한 문화재들이 즐비하다 |
▲ 석불
4탑 형식의 독특한 가람배치
현재 남아있는 문화재와 주춧돌 등으로 본 성주사지는 웅장하였다. 중문지를 지나면 석등과 그 뒤에 웅장한 오층석탑이 서 있다. 그리고 금당지가 있고, 좌우로 동남회랑지와 서남회랑지가 있다. 동남회랑지의 뒤편으로는 삼천불전지가 자리하고 있어, 성주사가 얼마나 큰 절이었는가를 가늠할 수가 있다.
금당의 뒤편으로는 삼층석탑 3기가 나란히 서 있다. 3기의 석탑 뒤에는 강당지가 있고, 그 한편에는 석불입상이 서 있으며, 한편에서 조금 비켜선 북서쪽에 국보 8호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가 서 있다. 이러한 가람의 배치는 금당 앞에 오층석탑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일탑일금당식과 같은 가람의 배치이다. 금당 뒤편에 3기의 탑은 후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성주사 사적기에 따르면 이 금당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3기의 탑은, 통일신라 말기의 탑으로, 정광, 가섭, 약사여래사리탑 중 하나이며, 발굴조사 결과 딴 곳에서 가져온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성주사는 신라시대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선종 중심의 하나인 성주산문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 |
▲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대천해수욕장 |
9산 선문 중 하나인 성주산문은 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으며, 많은 승려를 배출한 최대의 산문이었다. 수많은 문화재만을 남겨놓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간 성주사. 잔뜩 흐리고 바람이 부는 날씨였지만, 그 자리를 떠날 수 없음은 옛 성주사를 다시 한 번 가늠해보고자 함이다.
벌써 성주사지를 5회 이상을 찾아가 보았지만, 갈 때마다 이곳은 사람들의 인적이 없었다. 그것은 대천해수욕장을 끼고 있는 보령시에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오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곳 성주사지를 찾아오는 발길이 없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극히 저조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곳을 갈 때마다 깊은 한숨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