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fiogf49gjkf0d

【오산인터넷뉴스】김지헌 기자 = 지난 216, 윤동주 시인의 서거 71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의도했던, 의도 하지 않았던, 이 즈음하여 영화 <동주>가 개봉됐다.

  

이 영화는 <왕의 남자>, <사도> 등을 연출한 이준익 감독의 작품이다. 제작비 6억의 저예산 영화지만, 영화<동주>가 담고 있는 정신은 감히 형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 故 윤동주 시인(강하늘 분), 故 송몽규 선생(박정민 분)

 

영화는 평생을 같이 한 친구이자 이종사촌지간인 송몽규 선생과 윤동주 시인의 처절한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거기에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윤 시인의 시가 나레이션으로 깔리며, 묵직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던 시대, 꿈을 가져서도 안 되는 시대를 관통한 그들은, 한 명은 사상범으로 한 명은 독립운동 현행범으로 잡혀, 후쿠오카 형무소에 갇힌다. 그리곤 정체불명의 주사를 계속 투약 받고, 꽃다운 나이에 죽음을 맞이한다.

 

이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미안함과 고마움을 느끼게 한다. 영화를 재미있다’, ‘재미없다로 평가하기엔 영화가 가지는 깊이가 너무 깊다.

 

영화말미에 윤 시인은 일본형사에게 취조를 당하며 이런 말을 한다. “이런 시대에 시를 쓴다는 것이 , 이런 시대에 꿈을 꿨다는 것이 한없이 부끄럽다

 

우리가 사는 이 시대, 우리는 얼마나 시대에 대한 고민을 해봤을까. 혹은 자신에 대해 얼마나 고민해봤을까.

 

 

 

 

흑백 화면 속, 그의 시가 울린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2-23 10:58:3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