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sertraline alcohol reddit

sertraline alcohol go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산41-5번지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인 ‘농성(農城)’이 있다. 이 성은 경기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마을의 북쪽 논 가운데 있는 성이다.

 

▲ 경기도 기념물 제74호인 평택 농성

 

전체적인 성곽의 모습은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300m이고 높이는 4m 내외이다. 토축은 비교적 가파르게 조성을 하였으며 동쪽과 서쪽에 문터가 있다. 무너진 곳의 단면을 보면 붉은색의 고운 찰흙을 층층이 다져 쌓은 흔적이 있다.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쌓은 토성인가?

 

이 성을 쌓은 이유는 분분하다. 삼국시대에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이야기를 비롯하여,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온 평택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축조하여 생활 근거지로 삼았다는 설이 전하고 있기도 하다. 일설에는 고려시대에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이 전하기도 한다.

 

▲ 서은 경사가 지게 비스듭히 조성하였다

 

이 성은 평지에 만든 소규모의 토성으로, 이런 흙으로 쌓은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지역의 토착 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 농성의 둘레는 300m 정도이다

 

 성 바로 옆에는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이, 여름철에는 찬물이 나오는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우물터가 어느 곳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임팔급이 쌓았다고 전하는 농성

 

▲ 농성을 쌓았다는 임팔급의 동상
농성의 남쪽 문터를 바라보고 좌측에 동상이 한 기 서 있다. 바로 이 농성을 축성했다는 임팔급의 동상이다. 그 동상에는 이런 글이 적혀있다.

 

한국 임씨의 시조이신 충절공 임팔급(林八及)은 신라의 이부상서에 오르셨을 때 적병이 변방을 침입하므로, 공이 분연히 토벌하여 위난을 공정한 공훈으로 팽성군에 봉해지고, 신덕왕조에서 충절공의 시호를 받았다.

 

충절공은 중국 당나라에서 18세에 등과하여 한림학사를 거쳐 병무시랑 예부상서로 있을 때, 간신배들의 모함을 받아 칠학사와 함께 서기 850년 전에 우리나라 평택 팽성에 오시어 이 농성을 쌓고 정주하였다.(하략)」

 

익산임씨 세보에 의하면 시조 임팔급은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지내고, 신라에 들어와 이부상서를 역임하고 평택 용포리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그 후손들이 평택임씨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익산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고려 초기에 쌓은 성으로 추정

 

임씨종진회에서 농성 앞에 임팔급의 동상을 건립한 것에 대해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성이란 나라에서 어떠한 필요에 의해 쌓는 것으로, 일개인이 성을 쌓는다는 것은 불가하다는 것이다.

 

▲ 성은 평지에 흙을 다져 두텁게 쌓은 토성이다

 

 더욱 이 농성에서 발견된 토기편이 모두 고려시대의 것이라고 한다. 1999년 경기도박물관이 평택일대의 관방유적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결과, 비파산성에서 ‘건덕3년’이라는 명문을 발견했다고 한다.

 

▲ 서문지

 

▲ 동문지

 

건덕3년이면 고려 광종 7년인 965년이다. 2004년에는 단국대 매장문화재연구소가 비파산성에서 ‘차성(車城)’이라는 명문이 적힌 기와를 발견했다고 한다. 이런 점을 들어 학계에서는 이 농성 역시 고려 때의 토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 토성의 성위

 

▲ 학계에서는 농성을 곡창을 보호하기 위해 고려 때 쌓은 것으로 추정하기도

 

현재도 농성 부근에는 조선조의 객사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 농성부근은 예전부터 교통의 요지였다는 것이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곳은 고려 때의 곡창을 보호하는 성이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농성(農城)’이라는 명칭도 그와 관련이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하지만 그 외에 이유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이 있고 보면, 농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3-17 10:15:1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